전체목록67 [강좌]자바스크립트 함수 설명 및 정리 자바스크립트는 다양한 형태의 함수가 있어 헷갈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함수 선언문, 함수표현식, 화살표 함수, 리턴문이 한 줄일 때 함수 표현방법, 매개변수가 있는지 없는지 있다면 몇 개 인지에 따라 함수 표현방법을 다르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다양한 함수형태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 기본 함수 기본 함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1 2 3 4 function sayHello(name){ console.log(`Hello ${name}`); return true; } cs function : 함수라는 것을 지칭 sayHello : 함수 이름 name : 매개변수(매개 변수는 여러 개 일 수 있음) return : 반환하고자 하는 값을 우측에 코딩 참고 1) return이 없다고 하더라도 undefine.. 2021. 3. 17. [강좌]자바스크립트 형변환 String()/Number()/Boolean()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크게 세 가지 형변환을 제공하고 있다. 형변환의 종류와 형변환 방법을 알아보고 사용 예를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형변환의 종류 String() => 문자형으로 변환 Number() => 숫자형으로 변환 Boolean() => 참 거짓형으로 변환 2. 형변환이 필요한 이유 문자열 더하기 문자열을 하면 문자열이 연결되어 결괏값이 나타납니다. 숫자 더하기 숫자를 하면 더하기 연산이 됩니다. 그런데 문자열 더하기 숫자를 하면 의도하지 않은 결과 값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예시입니다. 예1) 3번째 결과값을 보면 원하지 않는 값인 35가 나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let s1 = "Hi "; let s2 = "su"; console.log(s1+s.. 2021. 3. 17. [강좌]자바스크립트 alert/prompt/comfirm 오늘은 alert/prompt/comfirm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lert => 알림과 같은 할 prompt =>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때 사용 comfirm => 사용자에 확인 또는 취소를 요청하고 결괏값을 받아옴 1. alert alert("경고"); 이와 같이 코딩을 하면 브라우저에 알림창과 함께 경고라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2. prompt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을 때 사용하며 입력받은 값을 가져 올 수 있다. prompt("이름을 입력하세요"); 와 같이 코딩하면 브라우저에 "이름을 입력해주세요"라는 메시지와 함께 사용자가 입력 할 수 있는 창이 나타난다. 아래와 입력창에 마이크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마이크가 name 변수에 저장되고 alert를 이용해 마이크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 2021. 3. 15. 됩니다 됍니다 쉽게 구분하기 오늘은 됩니다됍니다 구별방법을 소개합니다, '되'를 써야할지써야 할지 '돼'를 써야할지 항상 헷갈리는데요 '되'와 '돼'중 '되'를 사용할 때가 있고 '돼'를 사용할 때가 있습니다. 아주 쉽게 '되'와 '돼'를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오늘 정확히 알고 가시면 앞으로는 '되'와 '돼'를 햇깔일 일이 없겠죠? 급하게 됩니다와 됍니다 중 정답을 알고 싶은 분들은 쭉 아래로 내려 정답만 확인해주세요. 됩니다됍니다를 구분하는 방법은 됩/됍자리에 '합' 또는 '햅'을 넣어 발음해본 후 '합'이 자연스러우면 '됩'을 '햅'이 자연스러우면 '됍'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합니다와 햅니다 중 어떤게 자연스러운가요? 합니다와 햅니다 중 합니다가 자연스럽기 때문에 됩니다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됩니다됍니다 중 .. 2021. 3. 15. 이전 1 ···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