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DEX 미국FANG플러스(H)란 페이스북(F), 애플(A), 아마존(A), 넷플릭스(N), 구글(G) 뿐만 아니라 테슬라, 트위터, 알리바바, 바이두, 엔디비아 총 10개 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ETF입니다. KODEX 미국FANG플러스(H)에서 FANG이란 페이스북, 애플,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의 앞글자를 따서 만들어졌습니다. 2019년 1월 10일 상장 후현재까지 종목 교체 없이 유지중이며 분기 리벨런싱만 진행하고 있습니다.
순 자산총액
KODEX 미국FANG플러스(H)의 순자산 총액은 4,863억 원입니다.(2021년 3월 30일 기준)
우리나라 대표적인 ETF인 KODEX 200의 순자산총액은 47,346억 원, KODEX 인버스의 순자산총액 11,628억 원이며 KODEX 미국FANG플러스와 같이 미국에 투자하는 KODEX 미국S&P500선물(H)의 순자산총액은 1,169억 원입니다. 이러한 ETF들의 순자산총액을 봤을 때 KODEX 미국FANG플러스(H)의 순자산 총액은 상당히 크다고 볼 수 있고 삼성자산운용사에서 운용하는 KODEX ETF이기 때문에 투자하는 데 있어 안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종목구성
페이스북, 애플,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 테슬라, 트위터, 알리바바, 바이두, 엔디비아 종목에 동일비중으로 투자 하상품입니다. 따라서 10개 종목 각각 10%씩 투자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주가에 따라 분기별로 한 번씩 리벨런싱을 진행합니다. 예를 들어 테슬라가 오르고 애플이 떨어지면 총비중에 테슬라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애플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테슬라를 팔고 애플을 사는 방식으로 분기마다 리벨런싱을 진행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수익률
상장일인 2019년 1월 10일에서 현재 2021년 3월 30일까지(대략 2년 2개월) 150%의 수익이 발생했고 최근 1년(2020년 3월 30일 ~ 현재 2021년 3월 30일) 동안은 112%의 수익이 났습니다.
KODEX 미국S&P500선물(H) 최근 1년 수익률 56.53%, KODEX 미국나스닥100선물(H) 최근 1년 수익률 68.46% 와 비교해보면 대표 성장주 10개를 투자한 FANG플러스가 확실히 좋은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배당금
배당금은 지급하지 않습니다.
세금
국내에서 상장한 해외 ETF의 경우 매매차익의 15.4%, 분배금의 15.4%를 세금으로 부과합니다. KODEX 미국FANG플러스(H)는 분배금이 따로 없기 때문에 매매차익의 15.4%만 세금으로 부과하게 됩니다.
보수
수수료라고도 말하는 총보수 보수는 0.45%입니다. 낮은 보수는 아니며 ETF 중 꾀나 높은 보수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나 환헤지상품의 대부분이 어느 정도 높은 수준의 보수를 요구하고 있으며 총수익률을 봤을 때 크게 중요한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보수는 어느 시점에 내는 것은 아니고 자동으로 차감됩니다.
환헤지
KODEX 미국FANG플러스(H)에서 (H)가 붙은 ETF는 환헤지 상품이라는 것을 뜻합니다. 환헤지란 환율이 오르고 내리는 것에 상관없이 즉 환율 변동과는 상관없이 투자 상품의 가격만으로 ETF의 가격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애플 주식을 매수해 10% 상승을 했지만 환율이 20% 떨어지게 되면 애플 주식을 팔아 원화로 환전했을 때 수익이 아닌 손실을 보게 되는데 환헤지 상품의 경우 환율과 상관없이 애플이 10% 상승하면 10%의 수익을 그대로 얻게 됩니다.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베스트투자증권HTS eBEST PRO에서 증시캘린더 보기(증자,합병,분할,배당금,실적발표일 등) (0) | 2021.04.05 |
---|---|
SK 배당금 지급일 및 배당금(2021,SK,SK우) (0) | 2021.04.05 |
SK하이닉스 배당금 지급일은 언제이고 배당금은 얼마일까?(2021년기준) (0) | 2021.04.02 |
KODEX 2차전지산업의 모든 것( 종목구성, 세금, 분배금, 수익률, 보수, 전망 등) (0) | 2021.04.02 |
2021년 1분기 삼성전자 배당일 및 예상 배당금 (0) | 2021.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