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관련/javascript

[강좌]자바스크립트 자료형(javascript data type) string/number/ boolean

by BlueOcean&Shark 2021. 3. 10.

자바스크립트 자료형은 크게 세가지가 있습니다.

1. String 문자형
2. Number 숫자형
3. Boolean 참거짓형

 


1. String 문자형

- 문자형 데이터는 "" 또는  ''또는  ``를 이용한다.

1) " " (쌍따움표)
let name1 = "kim";
let name2 = "kang";
let name3 = "park";
let message1 = "I'm a boy. "; // 문자열에 '(작은따움표)를 넣어야 한다면 ""를 사용한다.

 

2) ' ' (작은따움표)
let name4 = 'kim';
let name5 = 'kang';
let name6 = 'park';

※참고 "" 나 '' 는 크게 차이가 없다. 문자열안에 ' 가 들어갈때만 "" 를 사용한다.

 

3) ` `  (키보드의 ESC키 아래 ~ 특수문자와 함께있는 문자)
- 문자열 안에서 다른 변수를 사용할때 사용한다.
let name7 = 'hong';
let message2 = `My name is ${name7}`;
문자열 사이에 다른 변수 name7 를 넣을 수 있다.


2. Number 숫자형

변수에 숫자(정수, 실수)를 넣을 수 있다.
let age = 30;
const PI = 3.14;

 


3. Boolean 참거짓형

변수에 true 또는 false 를 넣을 수 있다.
또한 연산자( <(작다) , >(크다) , ==(같다) 등)를 이용해 결과 값을 true, false 로 확인 할 수 있다.

let a = true;
let b = false;
console.log(a);
console.log(b);
console.log(10 > 5);
console.log(10 == 5);
console.log(10 < 5);


4. 기타
- undefined, null

- undefined 는 변수초기화를 하지 않았을때,  변수를 null로 초기화했을때 이다.
let user1;
let user2 = null;
console.log(user1);
console.log(user2);


- typeof 연산자

변수의 자료형을 알아 낼 수 있다.

let user3 = 3;
let user4 = "abc";
console.log(typeof user3);
console.log(typeof user4);
console.log(typeof 3);
console.log(typeof "abc");
console.log(typeof true);
console.log(typeof null);
console.log(typeof undefined);

 


유튜브 코딩앙마 님의 영상을 보고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 하였습니다.
혹시 틀린 내용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댓글